-
주식시장에서 살아 남으려면 원칙을 지키는 투자가 되어야 합니다. 원칙은 자기만의 기준에 맞추어 수립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
자기만의 기준은 수많은 매매경험을 쌓아서 수많은 시횅착오를 거쳐야 비롯소 완성됩니다.
-
YG plus 매매복기, 주가전망
회사개요 동사는 음반 및 음원 유통과 음악서비스, MD제조 및 유통, 광고대행사업을 영위하기 위해 1996년 11월 설립됨. YG엔터테인먼트, 하이브 등 소속 아티스트의 음반 및 음원 유통사업과 음악 플랫폼 운영대행사업, 아티스트 MD/캐릭터 제작 및 판매사업, 광고대행사업 등을 전개하고 있음. 출처 : http://www.ygplus.com/about/company YG PLUS YG플러스는 2014년 설립이래, 아티스트의 IP를 기반으로 음악, MD, 광고 등 글로벌 트렌드를 선도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 유통합니다. www.ygplus.com 매매복기 2017.12.26 매수 10주, 매수단가 1955원 2018.6.26 매도 9주, 매도단가 2500원 수익율 27.8%\ 좌측 이평선 매물대를 이..
2022. 4. 18.
신라에스지 매매복기, 주가전망
회사개요 동사는 1967년 3월 6일 설립되어, 1976년 6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였음. 동사의 사업부문은 원양어업부문, 수산물유통부문, 철강사업부문, 농산물중개부문, 기타사업부문으로 구성 수산물유통부문이 매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사업부문 중 원양어업부문은 횟감용참치를 어획하는 참치연승어업과 통조림용 참치를 어획하는 참치선망어업으로 구성되어 있음. 매매복기 2019.1.31 매수 20주 5,270원 2019.9.19 매도 20주 9,640원 수익율 82% 5,10,20,60일선이 결집되어 정배열 되는 구간에서 매수하여 8개월간의 기다림 끝에 연속 상한가 후 세번째 날 쭉 올렸다가 위꼬리달며 하락할시에 매도하였음 2019.9.24 17,400원 까지 상승하며 신고가 이후 하락 매도이후에 ..
2022. 4. 12.
삼영화학 매매전략, 주가전망
회사개요 동사는 필름형 박막 콘덴서(전류안정화장치, 축전기) 소재인 캐파시타 필름을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하는 업체임. 주력제품인 캐파시타 필름이 국내시장의 약 80% 가량을 점유하고 있고, BOPP와 PVC는 국내 시장에서 3위권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이 외에도 WRAP, PE WRAP, 합성지 등을 생산하고 있음. 동사는 삼영중공업과 대련삼영화학(유)을 계열회사로 두고 있음. 매매전략 2018/12/21 매수, 삼영화학 50주 매수, 매수단가 782원 매수금액 39,100원 2019/05/22 매수, 삼영화학 50주 매수, 매수단가 1,020원 매수금액 51,000원 2019/07/12 매수, 삼영화학 10주 매수, 매수단가 1,070원 매수금액 10,700원 2020/09/03 매도, 삼..
2022. 4. 6.
삼화페인트 매매분석, 주가전망
회사개요 1946년에 설립된 글로벌 도료업체로서 국내를 포함한 중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 등에 총 17개의 계열회사를 두고 있음. 건축용 도료는 인테리어 도료, 내화도료로 기술 및 시장을 확대하고 있고, 공업용 도료는 분체도료, 자동차도료, PCM도료, 전자재료 플라스틱 도료 등 산업 전반에 쓰이는 다양한 도료를 생산함. 동사는 오랜 경험과 기술력 그리고 800여개 대리점 유통망을 통해 동종사 대비 경쟁 우위를 가지고 있음. 매매복기 2019.2.19 매수, 매수단가 6,750원, 수량30주 2020.12.24 매도 매도단가 15,150원 보유기간 675일 수익률 123.51% 2015.7.20 25,600원 기록한 이후 4년이상 계속 하락한 종목으로 2018.6.14 10,200원(18.47%상..
2022. 4. 4.
POSCO 홀딩스 주가전망
회사개요 국내1위 철강업체 동사는 열연, 냉연, 스테인리스 등 철강재를 단일 사업장 규모로 세계 최대 규모인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에서 생산하고 있음. 철강산업은 자동차, 조선, 가전, 건설 등 철강 수요 산업에 기초 원자재를 공급하는 산업으로서, 70년대 이후 경제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 온 국가 기간산업임.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9.3% 증가, 영업이익은 346.2% 증가, 당기순이익은 468% 증가. 동사는 수익성 향상으로 영업이익이 증가하여, 차입금 대비 EBITDA는 연결과 별도 기준 모두 전분기 수준을 유지함. 동사는 3분기에 글로벌 철강 시황 호조 지속과 내수 비중 확대, 조강 및 제품 생산량 증가,원료비 증가에 따른 판매가격 상승으로 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
2022. 4. 1.